③ 내용적 분석
내용분석은 무엇을 그렸는가 하는 것을 취급하는 것으로 그림에 있어서 이상한 부분, 형식 분석에 나타난 특성 등을 참고로 하여 그림 가운데에 강조된 부분을 다룬다. 내용 분석에 있어서는 명백하고 큰 특징을 먼저 다루되, 그림 후의 질문을 행하며, 피험자가 질문에 따라 연상하는 것을 묻는 것이 그림 분석에 보다 더 효과적이다. 또한 그림 자체에 현저한 특징이 없는 경우에도 그린 후의 질문을 행함으로써 피험자의 성격을 이해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의 어떤 특징적인 증후는 무엇인가를 상징하고 있다는 도식적 의사소통이라는 점에서 명백하다. 그러나 그림의 상징적 의미는 인류 전체에 보편적인 의미를 갖는 것도 있으나 특정한 문화나 개인에게만 통하는 특수한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테면 팔은 이집트의 상형문자로는 활동성을 상징하는데 양팔을 올리는 것은 기도나 자기방어를 나타내며, 나무를 우주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인류에게 보편적인 상징적 의미라고 하겠다. 그러나 박쥐가 중국에서는 행복과 장수를 의미하는 데 반하여 서구에서는 이러한 의미가 없는 것은 문화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Hammer는 거세 수술받은 환자의 수술 전후의 H TP 검사에서 굴뚝, 가지, 둥지, 팔, 코 등의 돌출부가 남성 생식기의 상징으로써 사용되었으며 원, 삼각형, 중심이 움푹 파인 물건이 여성 생식기를 상징하였다고 말하고 있으며, 이것들은 Freud의 정신분석학에서도 인정되고 있는 상징들이다. 따라서 내용분석에 있어서는 어떤 증후의 보편적인 의미와 특징적인 의미를 함께 고찰해야 한다.
ⓐ 집 그림의 해석
집은 피검자가 성장하여 온 가정상황을 나타낸다. 자신의 가정생활과 가족관계를 어떻게 인지하며, 그것에 대해 어떤 감정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집 그림은 피험자가 현재의 가정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외에 이상적인 장래의 가정과 과거의 가정에 대한 소망을 나타낸다. 집 그림에서는 그림을 전체적으로 평가함과 아울러 필수 부분인 지붕, 벽, 출입문, 창문 등을 어떻게 그리는가에 유의해 해석해야 한다.
ㆍ굴뚝
굴뚝은 가정에서의 심리적 온정에 대한 지나친 관심, 남성에 대한 성적 관심, 힘에 대한 관심, 창조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냄. 굴뚝의 생략은 상당한 수동성, 가정에서의 심리적 온정의 결여를 나타냄.
ㆍ문
문의 생략은 심리적으로 얻기 어려운 것을 말함. 문이 마지막에 그려지는 경우(사람과의 접촉을 싫어함, 수줍음을 나타냄. 현실 도피 경향). 너무 작은 문은 접근의 까다로움이나 수줍음을 나타냄. 너무 큰 문은 사회적 접근을 나타냄. 측면의 문은 현실 도피를 나타냄.
•지붕
그 물무늬의 음영 넣기는 강한 의식과 수반된 죄의식, 강조는 공상에 대한 과잉 통제와 관련하고 있음.
•창문
창문이 그려지지 않은 것은 철회와 상당한 편집증적 경향성, 많은 창문은 개방과 환경적 접촉에 대한 갈망, 커튼이 쳐진 창문은 가정에서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수줍은 접근을 나타냄. 대단히 작은 창문은 심리적인 거리감과 수줍음을 나타냄.
•방
특별한 방과 관련된 그림은 그린 사람의 정체감, 방과 관련된 부정적 혹은 긍정적 경험들, 그림을 그린 사람에게 있어서 방에 대한 특별한 상징을 나타냄. 욕실의 강조(Freud의 "항문 기적 성격", 강박 관념적으로 더러움을 씻어내는 의식으로 청결에의 강조, 숨는 장소, 욕실을 너무 강조해 그리는 대부분의 사람은 아동기 때 가족들과 긴장하며 싸운 경험이 있는 경우, 은신처이며 아주 조용한 장소), 침실의 강조(아주 조용하고 우울해 보이는 경우, 우울증적 경향이 있는 사람을 위한 은신처, 성적 행위를 위한 장소, 병자를 위한 장소), 식당과 부엌의 강조(양육을 위한 장소, 구강과 의존성은 그림을 그린 사람의 애정에 대한 강한 욕구에 대한 특징), 거실의 강조(사회화를 위한 장소, 오락실의 강조는 놀이를 위한 장소) 등. 불결한 방은 가정 혹은 자신에 대한 적개심을 나타냄.
•도화지의 측면
도화지의 측면은 일반적인 불안정감을 나타낼 수도 있음.
ㆍ관목과 꽃
관목과 꽃은 사람을 나타냄.
•계단과 보도
계단 혹은 보도는 사회적 상호관계의 환영을 말함. 창도 없는 편편한 벽에 기대어 있는 계단은 접근과 관련된 갈등을 나타냄. 긴 보도나 집에 기대어 있는 계단은 유도된 접근을 말함.
ㆍ벽들
튼튼한 벽은 완강한 자아, 얇은 벽은 약한 자아와 상처 입기 쉬운 자아, 과잉 강조된 수평적 차원의 벽은 실용주의와 근거에 대한 욕구, 부서진 벽은 분열된 성격을 나타냄.
'책기록,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인물화 그림 해석 1 (0) | 2022.06.29 |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나무 그림 해석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집 , 나무, 사람 검사 해석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 나무, 사람 검사 2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 나무, 사람 검사 1 (0) | 2022.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