⑥ 나무 그림의 해석
나무 그림은 피험자의 기본적인 자기 상을 나타내며, 피험자가 자신의 마음 상태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무의식적으로 변형하며, 정신적으로 성숙도를 표시하고 있다. 나무의 필수 부분은 줄기와 가지이며, 순서는 보통 줄기부터 시작하여 잎으로 그려가지만 통합된 사람은 뿌리부터 그리기도 한다. 지면의 선을 먼저 그리고 나무를 그리는 것은 타인에게 의존적이며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한편 나무를 그린 후 지면의 선을 그리는 것은 행동에 있어서 처음에는 침착하지만 불안해지며 타인의 인정을 구하는 사람이다. 잎을 맨 먼저 그리는 것은 마음의 안정성이 없고 표면적인 허영과 허식을 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나무 그림에 대한 해석은 전체적인 평가가 중요하며 부분에 구애받지 않고 먼저 전체를 직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나무 그림의 해석에 대한 몇 가지 지표를 학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제시해둔다.
ㆍ나무에 있는 동물
나무에 동물을 그리는 것은 비교적 드묾. 각 동물은 그림을 그린 사람이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을 나타냄. 가장 흔한 것이 다람쥐로 행동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박탈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서 종종 그려짐. 몇몇 의존적인 사람들은 나무 구멍 속에 동물을 둠으로써 따뜻하고 보호적인 자궁 속에 있는 것을 상징으로 나타냄.
• 사과나무
떨어지는 혹은 떨어진 사과들은 거리감이나 죄의식을 나타냄. 종종 강간과 같은 외상 후에 보임.
ㆍ나무껍질
벗겨진 경우(어렵고 난폭한 생활, 진하게 그려진 것은 불안감). 지나치게 상세히 그려진 것
(강박감, 완고함, 강박관념을 통제하기 위한 조심스러운 시도들)
ㆍ가지
일반적인 것(조직화하고 조화되어 적당하게 형성된 가지들이 활발하고 균형을 이루며 자라는 것을 말함. 유연성, 크기, 수와 균형의 정도는 양육과 성장을 위한 환경과 접촉하려는 것을 나타냄). 특별한 것(엄밀한 좌우대칭은 통제를 위한 강박적인 욕구를 말함). 집을 향해 있는 좌우비대칭은 가족이나 안정에 대한 관심, 애착을 나타낼 수도 있음. 집에서 멀리 떨어진 것은 가족들의 접촉들에서 멀리 떨어져 독립적으로 성장한 경우를 말함. 꺾여 있거나 잘린 가지들은 외상 혹은 거세에 대한 감정을 나타냄. 죽은 가지들은 생활의 일부에서의 상실감이나 공허함을 나타냄. 줄기에 접하지 않았거나 부러진 가지들은 체계적이고 조직화한 양식에서 끝까지 해내지 못하는 꿈 꾸는 사람이나 공상적인 사람을 나타냄.
버드나무와 같이 아래로 늘어진 가지들은 "미안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고 과거에 집착한 사고를 가지고 있음. 위로 뻗어 올라간 가지들은 환경 속에서 기회를 찾아가는 것을 말함. 줄기에서 삐져나온 새로운 성장은 새로운 희망이나 신뢰하는 환경을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음. 줄기에 비해 지나치게 큰 가지는 환경에서 만족을 얻기 위해서 지나친 노력을 하는 부적절함을 나타냄. 가지에서 그네를 타는 사람들은 생활의 일부분을 타인의 희생에 초점을 두는 것에 대한 긴장을 나타냄. 가지 위에 지은 나뭇집은 위협적인 환경에서의 보호를 찾기 위한 시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음. 커다란 줄기에 대해 가느다란 가지들은 환경에서 만족을 얻을 수 없음을 나타냄. 언덕 위에 있는 나무는 종종 정신적인 의존성을 보여줌. 특별히 나무가 단단하고 크다면, 위로 올라가고자 하는 노력으로 보임. 커다란 잎들은 부적합성과 관련된 의존성을 나타냄. 어린나무는 미성숙이나 공격성을 나타냄(Buck, 1948; Burns & Kaufman, 1972; Bums, 1982; Josses, 1964).
・뿌리
나무뿌리의 강조는 보통 미성숙이나 "정착되지 않은 일과 관련된 과거에 대한 관심을 나타냄. 그들 자신을 확신할 수 없는 사람들은 종종 과거 사건이나 사람들에 의하여 그들 자신을 정의함으로써 그들이 누구인지 알아내고자 함. 죽은 뿌리는 초기 생활에서의 강박적·우울증적인 감정을 나타냄. 손톱, 갈퀴와 같은 뿌리는 의지하고 있는 사람이나 장소를 말함. 도화지의 가장자리에 그려진 뿌리는 불안정감, 안정에 대한 욕구를 말함(Josses, 1964).
ㆍ줄기
일반적인 것(나무줄기도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에너지, 창조적 생명력, 리비도, 생활의 느낌에 대한 감정을 반영, 줄기에 있는 이상적 표시들은 심각한 외상을 경험했던 나이를 반영하는 것 같음. 꼭대기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줄기는 약화한 활력, 즉 "쇠약한 것을 나타냄). 특별한 것[줄기에 있는 짙은 음영은 만연된 불안을 나타냄. 희미하게 음영이 진 줄기는 수동성을 나타냄. 줄기에 있는 상처는 이상적 경험을 반영하는 경우도 있음. 가느다랗거나 매우 좁은 줄기는 불확실한 적응과 생활에 부적합하게 얽매여 있음을 나타냄. 바람에 흔들리는 줄기는 환경에서의 압력과 긴장들을 나타냄(Buck, 1948; Josses, 1964)].
'책기록,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인물화 그림 해석 2 (0) | 2022.06.29 |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인물화 그림 해석 1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그림 해석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집 , 나무, 사람 검사 해석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 나무, 사람 검사 2 (0) | 2022.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