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와 코
강조된 큰 귀 혹은 머리카락을 통해 비쳐 보이는 큰 귀[청각장애의 가능성, 청각과 관련된 관심, 비평에 대한 민감성, 상당한 관계 망상(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1949)]. 압력이나 크기를 통한 코의 강조[성적 두려움이나 거세에 대한 두려움(Buck, 1948;Hammer, 1971; Josses, 1964; Mac hover, 1949)]. 콧구멍이 그려져 있으며 강조된 것은 공격적 경향과 정신 신체적 증상인 천식 상태를 나타냄(Bums & Kaufman, 1972;Mac hover, 1949).
• 입과 턱
입의 강조 [퇴행적 방어, 구강기, 구강 기적 성격을 강조, 야만적 경향성, 언어 문제의 가능성(Mac hover, 1949)]. 입의 생략[상당한 심리 신체적 천식의 상태, 우울 상태의 가능성, 타인들과 의사소통하는 것을 원하지 않음(Buck, 1948)]. 벌린 입은 구강적 수동성을 나타냄. 담배, 이쑤시개, 파이프 등과 같은 것이 입 안에 있는 것은 구강적 성애에 대한 욕구를 나타냄(Mac hover, 1949).
• 팔
접촉 부위들(팔, 손, 손가락, 다리, 발), 보통과 다르게 그려진 팔(일반적으로 그림에서의 팔의 상태와 위치는 사람의 신체적 상태 및 유형 혹은 환경과의 접촉을 반영), 경직된 두 팔은 강박적이며 억압된 성격을 나타냄. 흐느적거리는 두 팔은 일반적으로 무능력한 성격을 나타냄. 손을 허리에 대고 팔꿈치를 옆으로 벌이고 있는 팔은 "자기도취 혹은 으스대는" 경향이 있는 것을 말함. 몸통에서 오른편으로 기계적, 수평으로 뻗어 있는 팔은 천박하며 환경에 대해 무감동한 접촉을 하는 단순하고 퇴행적인 개인을 나타냄. 약하고 위축된 팔은 신체적 혹은 심리적 약함, 부적절함을 나타냄(Buck, 1948; Hammer, 1971; Josses, 1964;Mac hover, 1949). 강화된 팔, 특히 근육이 강조된 팔은 보통 물리적 특성으로 권력 싸움을 나타냄. 넓은 어깨 등과 관련될 때 공격적 경향성과 연결됨(Bums & Kaufman, 1972;Josses, 1964; Mac hover, 1949). 길고 강한 팔은 탐욕적이고 보상적 야망, 신체적 강건함에 대한 욕구, 그리고 환경에 대한 능동적 접촉의 욕구를 나타냄(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 1949). 매우 짧은 팔은 야망의 결여, 부적절함에 대한 노력의 부족을 나타냄.
팔의 생략은 손의 생략과 같이 죄의식, 극단적인 우울증, 일반적인 무력감, 환경에 대한 불만, 강한 철회 경향 등을 나타냄(Buck, 1948; Burns & Kaufman, 1972, Josses, 1904).
• 손
희미한 손은 사회적 상황에서 신뢰감의 결여나 일반적 신뢰감의 결여 또는 생산성의 결여, 어쩌면 둘 다를 나타냄. 음영이 있는 손은 보통 공격적 혹은 자위 행동과 관련된 불안이나 죄의식을 나타냄. 현저하게 큰 손은 공격성을 나타냄. 과장된 손은 억제된 충동을 나타냄. 인물화에서 가장 흔히 생략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손의 생략은 의미가 적으나 이것의 생략은 부적절함, 거세불안, 자위에 대한 죄책감, 그리고 신체 기관의 상태와 관련됨(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 1949). 마지막에 그려진 손은 부적절한 환경에 접촉하기 싫음을 나타냄. 손가락들(손가락들에 대해 다루는 것은 종종 손이나 팔에 대한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 일반적으로 손가락들은 손이나 팔을 그리기 전에 그려짐. 손가락들은 가장 엄격한 감정 속에서의 접촉 특징을 나타내며, 우호적이고, 적극적인, 적대적·파괴적 방식으로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음), 갈퀴 같은 진하고 곧은 선들 혹은 끝이 뾰족한 손가락은 유아적. 야만적 · 공격적 경향(Buck, 1948; Hammer, 1971; Josses,1964; Mac hover, 1949). 단단히 쥔 주먹은 공격성과 반항을 나타냄. 아동화에서 흔한 손이 없고 손가락만 있는 그림이 성인에게 보일 때는, 특히 강한 압력으로 한 차원에서 그려진 것일 때는 퇴행과 유아적 공격성, 공격적 경향성을 나타냄. 짙게 음영이 지거나 강조된 손가락들은 일반적으로 죄책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고 보통 도벽이나 자위행위와 관련됨. 현저하게 큰 손가락들은 공격적인 경향성을 나타냄.
• 다리
매우 긴 다리도 자율성에 대한 강한 욕구를 나타냄. 보통 허리 아랫부분을 그리지 않으려고 하는 것과 관련 다리 그리기를 거절하거나 혹은 스케치 선으로서 그려질 경우에는 심각한 성적 혼란이나 병리적 위축을 나타냄(Josses, 1964; Mac hover, 1949).
• 발
길게 늘어진 발은 강한 안정감에 대한 욕구와 상당한 거세 불안의 가능성이 있음. 작고 특히 가느다란 발은 불안정감, 위축, 의존성과 다양한 정신 신체적 상태들과 관련됨(Buck,1948; Josses, 1964; Mac hover, 1949). 발을 그리는 데 있어서의 저항은 우울증적 성향, 실망을 나타내며, 침대에 누워 지내는 환자를 포함하여 신체적으로 위축감을 지닌 사람의 그림에서 종종 보임. 발을 그리지 않는 경우는 도피의 경우에 흔함(Buck, 1948; Bums &Kaufman, 1972; Hammer, 1971; Josses, 1964).
• 자세의 특징
벌리고 선 자세, 인물이 도화지의 중앙에 있을 때 공격성, 독선적 공격성, 때때로 불안정감에 의해서 반대로 행동하며, 작거나, 음영이 져 있거나, 강화되었거나 혹은 약한 글 쓸 때 누르는 정도로 그려지거나, 지면 선을 사용해 발이 그려져 있는 경우보다 명백(공격적인 저항이나 불안정감) 함(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 1949). 다리가 공중에 떠 있고 전체상이 비스듬히 그려져 있을 때 만성적 알코올중독의 경우와 같이 심한 불안정감과 의존성을 나타냄.
• 신체의 다른 부위(몸통, 어깨, 가슴, 허리선, 엉덩이, 접합부 등)
·둥근 몸통은 수동적이며, 보다 덜 적대적이고, 상대적으로 여성적 · 유아적이며 퇴행적인 성격을 나타냄. 각이 진형들은 상대적으로 남성적인 성격을 나타냄. 어울리지 않게 작은 몸통은 충동의 부인, 열등감 혹은 둘 다를 나타냄. 몸통의 아랫부분을 마지못해 폐쇄한 것은 성적인 편견을 나타냄. 보통과 다르게 그려진 어깨(일반적으로 어깨의 표현 방식은 신체적 힘에 대한 욕구 표현으로 간주), 각이 진 어깨는 공격적. 적대적 경향을 나타냄(Buck, 1948; Hammer, 1971; Josses, 1964). 작은 어깨는 열등감을 나타냄(Buck, 1948;Josses, 1964). 남성의 경우, 불안정한 개인들과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당당한 어깨는 보상적 반응을 가진 성적인 양가감정이나, 공격적 경향을 나타냄(Hammer, 1971; Mac hover.1949).
• 남성이 현저하게 큰 유방을 그리는 것은 강한 구강적 의존 욕구를 나타냄(Mac hover.1949).
• 단추의 강조[(의존적 · 유아적 • 부적합한 성격), 퇴행, 특히 중앙에 기계적으로 그려졌을 경우(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 1949), 소맷부리의 단추가 강조된 경우는 의존성에 대한 강박상태가 더해짐을 나타냄].
• 호주머니의 강조(유아적 의존적 남성, 애정 혹은 모성의 박탈로 종종 정신 병리적인 원인,커다란 호주머니가 강조된 경우는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 의존성과 관련된 갈등을 지닌 청소년의 남자다워지려는 노력을 나타냄).
•넥타이의 강조[부적절한 성적인 감정: 특히 청소년들과 40세 이상의 남성에게 있어서(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 1949)]
•신발의 강조(커다란 신발은 안정에 대한 욕구를 나타냄. 신발, 레이스 등을 너무 자세히 그리는 것은 강박적이며 지나치게 여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춘기 소녀의 경우에 흔히 관찰됨).
• 모든 인물이 막대 같은 인물로 그려졌을 경우[검사 장면에 대한 방어나 저항 반응. 특히 전체 그림을 완성하도록 요구했을 때, 낮은 지능, 반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최소한의 협력(Hammer, 1971; Reynolds, 1978)]. 눈사람은 정서적 박탈을 나타냄.
•투시 옷을 통해 보이는 신체적 부분은 성인의 경우 성적으로 훔쳐보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아동의 경우는 정상일 수 있음. 신체 기관의 문제들, 현실 왜곡: 빈약한 현실검증력, 나이 든 아동들과 청소년들의 경우 정신병, 낮은 지능(Reynolds,1978)].
인물화 해석기준
얼굴의 부분만을 매우 상세하게 그려 완성하려는 피검사자는 강박적인 성격일 경우가 많고 동체부터 그리는 사람은 자기개념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한다.
•제일 먼저 의복을 그리려고 하는 사람은 인간관계에 문제가 있으며, 따뜻함을 가지고 애정 관계를 맺지 못하는 냉정한 사람인 경우가 많다.
・다리부터 그려 나가는 것은 성에 대한 관심과 갈등 혹은 성도착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얼굴을 마지막으로 그리거나 얼굴 내부를 먼저 그리고 윤곽을 나중에 그리는 것은 타인과
의 정서적인 접촉을 즐기지 않는 사람에게서 자주 보인다.
ㆍ손을 먼저 그리는 것은 죄악감을 갖고 있거나 인간관계에 문제가 있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책기록,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3) 동적 사람검사 (0) | 2022.07.02 |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3) 동적 집 • 나무검사 (0) | 2022.07.02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인물화 그림 해석 1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나무 그림 해석 (0) | 2022.06.29 |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그림 해석 (0) | 2022.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