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 나무, 사람 검사 1 2) 집. 나무. 사람 검사(House-Tree-Person; HTP) 그림이 '투사적'일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내담자의 성격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투사적 그림 검사들이 심리학이나 심리치료 문헌에 등장하게 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투사적 그림 검사 중의 하나가 Buck(1948, 1966)의 'House-Tree-Person(HTP)'이다. HTP는 원래 당시 Buck이 개발하고 있었던 지능검사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고안되었으나, 이후 지능과 성격 모두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체계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집, 나무, 사람의 3가지 주제가 어린 내담자들에게도 매우 친숙하고 쉽게 그려질 수 있으며, 무의식의 활동과 연상작용을 활성화하는 상징성이 풍부한 소재라는 점에서 채택하였다고 설명하였다. .. 2022. 6. 29.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1) 인물화 검사 2.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진단을 위한 그림 검사의 종류는 아주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미술 심리치료에서 많이 사용되는 그림을 통한 투사적 검사와 자유화 및 미술 심리치료사들에 의해서 개발된 검사 도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미술 심리치료사들이 개발한 진단은 치료 초기에만 제안되지 않고, 작업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미술 심리치료의 목적에 근거하여 진단의 방법, 즉 초기 진단, 중기와 후기 진단을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투사적 검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제가 있는 검사로서 인물화 검사(Draw A Person), 집·나무·사람 검사(House-Tree-Person: HTP), 동적 집. 나무. 사람 검사(Kinetic House- Tree-Person; KHTP), 가족화(Draw A .. 2022. 6. 29.
미술 심리 치료학 진단 도구로서의 미술 심리치료 1. 진단 도구로서 미술 1) 투사검사의 역사적 고찰 투사적 그림 검사의 대가 중 한 명인 Koppitz(1984)는 투사적 그림을 '비언어적 언어' 라고 칭하면서 그림이 그 사람의 내면을 표현하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임을 강조하였다. 내담자에게 있어 그림은 내담자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세계 공통적인 언어라고 할 수 있다. Freud와 Jung 또한 20세기 초반 예술적 표현과 정신세계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고 두 사람은 모두 예술과 '상징', 성격 간의 관련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Freud는 개인이 갖는 '이미지'가 잊히거나 억압된 개인적 기억을 표상하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표상적 이미지로서 상.. 2022.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