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3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나무 그림 해석 ⑥ 나무 그림의 해석 나무 그림은 피험자의 기본적인 자기 상을 나타내며, 피험자가 자신의 마음 상태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무의식적으로 변형하며, 정신적으로 성숙도를 표시하고 있다. 나무의 필수 부분은 줄기와 가지이며, 순서는 보통 줄기부터 시작하여 잎으로 그려가지만 통합된 사람은 뿌리부터 그리기도 한다. 지면의 선을 먼저 그리고 나무를 그리는 것은 타인에게 의존적이며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하는 사람이다. 한편 나무를 그린 후 지면의 선을 그리는 것은 행동에 있어서 처음에는 침착하지만 불안해지며 타인의 인정을 구하는 사람이다. 잎을 맨 먼저 그리는 것은 마음의 안정성이 없고 표면적인 허영과 허식을 구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나무 그림에 대한 해석은 전체적인 평가가 중요하며 부분에 구애받.. 2022. 6. 29.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그림 해석 ③ 내용적 분석 내용분석은 무엇을 그렸는가 하는 것을 취급하는 것으로 그림에 있어서 이상한 부분, 형식 분석에 나타난 특성 등을 참고로 하여 그림 가운데에 강조된 부분을 다룬다. 내용 분석에 있어서는 명백하고 큰 특징을 먼저 다루되, 그림 후의 질문을 행하며, 피험자가 질문에 따라 연상하는 것을 묻는 것이 그림 분석에 보다 더 효과적이다. 또한 그림 자체에 현저한 특징이 없는 경우에도 그린 후의 질문을 행함으로써 피험자의 성격을 이해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의 어떤 특징적인 증후는 무엇인가를 상징하고 있다는 도식적 의사소통이라는 점에서 명백하다. 그러나 그림의 상징적 의미는 인류 전체에 보편적인 의미를 갖는 것도 있으나 특정한 문화나 개인에게만 통하는 특수한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테면 팔은 이.. 2022. 6. 29. 미술 심리 치료학 _ 집 , 나무, 사람 검사 해석 (4) 집·나무·사람 검사(HTP)의 해석 ① 전체적 평가 그림의 전체적인 인상을 중시하고, 조화가 이루어져 있는가? 구조는 잘 되어 있는가? 이상한 곳은 없는가에 주목하여 어떤 모양의 사람을 그렸는가? 등을 생각해나가는 것이다. 전체적 평가에서 밝혀야 할 것은 피검자의 적응 수준, 성숙도, 신체상에 대한 왜곡의 정도, 자기와 바깥 세계에 대한 인지 방법 등이다. 전체적인 평가는 집 그림, 인물화 등 각각의 그림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만이 아니라 4장의 그림 전체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남성상과 여성상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가 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H TP 검사의 전체적인 평가에 의하여 피검사자의 적응심리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그림을 직관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직관적 해석 능력은.. 2022. 6. 29.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집 , 나무, 사람 검사 2 글자수세기 / 맞춤법 검사 내용 입력 (3) 그림 그린 후의 질문 방법 H TP 검사 후의 질문은 피험자가 표현하고 있는 독특한 의미와 문제를 알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문은 특별히 일정한 형식은 없으며 검사자의 필요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이 그림에 대하여 당신이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이 야기해보십시오"라든가 "이 그림에 대하여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보지 않겠습니까?" 라고 질문하는 것이 좋다. 질문에 대한 대답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묻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질문사항들이다. 모든 피험자에게 이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은 실제적으로는 곤란하지만 얻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것이다. 집 그림 질문 1. 이 집은 시가지에 있는 진입 하니까. 교외에 있는 진입 하니까? .. 2022. 6. 29.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