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미술 심리 치료학 _ 미술 심리 치료 기법 2 3. 상호 색채 분할법 • 설명 상호 색채 분할법의 목표로는 관계 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 유발, 활동의 촉진이 있으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사인펜, 크레파스가 있다. ※ 이때 내담자가 한 번에 한 칸씩 칠하지 않고 2~3칸을 칠해도 원하는 대로 하게 해준다. 색칠을 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내담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잘 맞추어주는 것이 초기 단계 치료사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재료 도화지, 크레파스 상호 색채 분할법 • 활동 내용 치료사는 내담자에게 가장자리에 테두리가 그려진 도화지를 제시하면서 '선생님하고 같이 선을 그려서 색칠하기를 해보자'라고 제안한다. •재료 물감, 아크릴판 또는 책받침, 젓가락, 밀가루 풀 • 활동 내용 . 물감과 밀.. 2022. 7. 2.
미술 심리 치료학 _ 미술 심리 치료 기법 1 1. 난화 • 설명 만 2~4세는 자아 표현이 발달하는 시기로 아이들은 자기 마음대로 선을 긋는 난화를 그리기 시작한다. 난화는 아무런 목적이 없는 놀이인 동시에 기분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활동인 만큼 정서적으로 위축된 내담자라도 부담 없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리기를 싫어하고 두려워하는 등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에게 난화 기법은 아주 좋은 방법이다. 1-1. 난화 그리기 •재료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8절, 4절: 내담자에게 알맞은 것 선택), 크레파스(좋아하는 한 가지 색 선택, 사인펜, 연필 등 •활동 순서 편안한 자세로 앉아 몸과 마음을 이완시킨다. ㆍ눈을 감고 편안한 상태에서 팔을 위로 들어 올려 허공에 팔을 부드럽게 또는 빠르게 휘저어 본다. 1-2. 난화 상호.. 2022. 7. 2.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3) 풍경 구성법 2 각 요소(ITEM)의 상징과 의미 신경증이나 조현병과 같은 마음의 병에 있어서는 자아와 무의식의 균형이 맞지 않아 서로 대립하게 되지만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는 힘이 있어 마음의 병을 고치는 힘을 가지게 된다. 이것이 바로 상징의 힘인데 상징은 신경증이나 조현병 등과 같은 마음의 병이나 마음의 균형이 무너진 것을 회복시켜 준다. 미술 심리치료사가 각 그림에 표현된 상징을 읽는 것이 환자를 치료할 때 가장 먼저 필요하다. 이렇듯 그림의 각 요소 중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아이템은 그 요소가 그린 사람의 내면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 강 강은 일반적으로 무의식의 흐름에 비유할 수 있다. 무의식에 지배된 상태의 환자들은 흔히 물이 세차게 흐르는 큰 강을 그리고 나아가서 군데군데 범람.. 2022. 7. 2.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3) 풍경 구성법 6) 풍경구성법(Landscape Montage Technique; LMT) 정신과 교수 나카이 하사 오 교수에 의해 창안되었다. 모래 상자 기법에서 고안된 풍경구성법은 대상자의 내면적 심리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내용 중심적 해석과 그림에 나타난 구조적인 해석을 둘 다 적용할 수 있는 진단적 · 치료적 미술 기법이다. 조현병 환자를 주 대상으로 실시한 모래 상자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예비 검사로 고안되었고 그 후 독자적인 가치가 인정되어 입원한 조현병 환자의 치료 효과를 사정하기 위한 진단 보조기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모래 상자 기법은 퇴행을 촉진하기 쉬운 모래 위에서 물과 퇴행을 일으키기 쉬운 소품을 사용하여 작품을 만드는 기법으로 의식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인 내용을 자연스럽게 경험하.. 2022.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