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기록,공유39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1 1. 신경의 기본단위 - 뉴런 두 개의 막대를 세우기란 몹시 어렵지만 우리는 의자에서 일어서서 한 발로 서기도 하며 두 발로 걷고 심지어 뛰기도 한다. 막대와 두 발의 차이는 무엇인가? 신경이 있고 없음이다. 넘어지려고 하면 우리의 신경은 곧바로 무게중심으로 옮겨서 넘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걸어갈 때 넘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옮겨 주는 것은 신경이 하는 극히 사소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자극을 지각하고, 반응하고, 생각하고, 사랑하는 우리가 하는 모든 활동, 그것이 간단한 것이든 복잡한 것이든 실은 뉴런의 활동 결과이다. 뉴런이 어떻게 활동하여 그와 같은 복잡한 인간의 행동과 사고와 감정을 만들어 내는지 아직 밝혀야 하는 부분이 많다. 이제 겨우 이 미답의 세계에 발걸음을 내딛고 있을 뿐이다. 뉴런의 .. 2022. 7. 25. 심리학의 이해와 연구 행동주의 등 포괄적으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구성주의와 기능주의는 인간의 의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지만 철학적 조류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들이 객관과 과학을 주장하였지만 다른 실험실에서 발표된 주장들을 논박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이것은 내성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였다. 왓슨(Watson)은 이런 학문적 토양에서 심리학의 과학화를 주장하면서, 심리학이 과학이 되려면 의식을 배격하고 인간의 행동만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많은 학자가 실험법을 통하여 행동의 법칙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런 학파를 행동주의(behave iorism)라고 한다. 이 심리학의 발전과정에서 행동주의가 지니고 있는 주목할 만한 함의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연구 방법의 혁명이었다. .. 2022. 7. 25. 심리학의 본질 1. 심리학의 이해 독자는 심리학으로 여행을 떠나는 탐험가의 입장에 서 있다. 미지의 땅으로 여행을 떠나는 여행객은 여행에 대한 기대와 그 여행이 가져다줄 소득에 대한 희망에 부풀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심리학으로 여행을 떠나고자 마음먹은 많은 독자는 심리학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가지고 서 있다. 심리학이란 낯선 땅을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 이 탐구를 위한 준비를 해보자. 탐구를 위한 준비는 여러 가지로 시작할 수 있다. 우선 심리학이 밟아온 길을 더듬어 보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심리학이 발전하여 여기까지 왔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심리학이 연구 대상으로 하는 인간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다. 바로 인간의 특징이 심리학의 성격을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심리학이 .. 2022. 7. 25. 미술 심리 치료학 _ 미술 심리 치료 기법 7 31. 물고기 가족화 • 설명 물고기 가족화는 어항을 그린 도식을 주어 그 안을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로 꾸며보게 한다. 단, 자기 집에 있는 수족관이나 실물을 보고 그리면 안 되며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를 꾸미게 한다. 치료사가 의도하여 "나"를 포함한 물고기의 세계를 표현하라고 해도 무방하며, 자신의 가정에 대한 비유나 마음속 내면에 대한 것을 그리게 코멘트해도 무방하다. 그림을 그린 사람에게 반드시 왜 그렇게 그렸는가의 설명을 들어서 분석에 도움이 되고 정확한 갈등과 억압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가족관계의 역동성, 현재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주제 파악을 한다. •재료 연필, 색연필, 색 사인펜, 크레파스 등 • 활동 내용 •준비한 물고기 가족화 용지를 나누어준다. ·어항 속에.. 2022. 7. 8.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