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기록,공유39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3) 동적 사람검사 4) 동적 가족화 검사(Kinetic Family Drawing; KFD) 가족화(Drawing A Family)에 움직임을 첨가한 일종의 투사 화를 말한다. Burns & Kaufman (1970)에 의해 발전된 동적 가족화는 개인을 통해 가족의 역동성을 파악하기에 더욱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동적 가족화는 주제통각검사와 유사한 점이 많으며, 일반적으로 가족화가 가지는 상동적인 표현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연령이나 사회적 지위 순으로 그리는 가족화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를 투사하게 하는 것이다. 동적 가족화는 그린 사람의 눈에 비친 가족들의 일상생활 태도나 감정을 그림으로 나타냄으로써 그린 사람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한다. 이러한 판단은 그림, 사람, 자신의 과거 경험이나.. 2022. 7. 2.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3) 동적 집 • 나무검사 3) 동적 집 • 나무 • 사람 검사(Kinetic House-Tree-Person; KHTP) .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그림을 이용한 것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림을 이용한 선구자로는 Good enough(1926)를 들 수 있다. Good enough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 규준이 되는 인물화의 발달 과정을 연구했으며, 그림과 지능의 발달 관계를 규정했다. 후에 Harris(1963)는 Good enough의 연구를 더욱 발전시켰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김재은·여광 녹말죽 '인물화에 의한 간편 지능검사'로 표준화 작업을 하여 보급했으며 현재도 지적장애의 지능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1949년 Mac hover는 내담자의 그림에 대한 임상적 해석기준을 .. 2022. 7. 2.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인물화 그림 해석 2 • 귀와 코 강조된 큰 귀 혹은 머리카락을 통해 비쳐 보이는 큰 귀[청각장애의 가능성, 청각과 관련된 관심, 비평에 대한 민감성, 상당한 관계 망상(Buck, 1948; Josses, 1964; Mac hover.1949)]. 압력이나 크기를 통한 코의 강조[성적 두려움이나 거세에 대한 두려움(Buck, 1948;Hammer, 1971; Josses, 1964; Mac hover, 1949)]. 콧구멍이 그려져 있으며 강조된 것은 공격적 경향과 정신 신체적 증상인 천식 상태를 나타냄(Bums & Kaufman, 1972;Mac hover, 1949). • 입과 턱 입의 강조 [퇴행적 방어, 구강기, 구강 기적 성격을 강조, 야만적 경향성, 언어 문제의 가능성(Mac hover, 1949)]. 입의 생략[.. 2022. 6. 29.
미술 심리 치료학 _ 투사 그림 검사의 종류 (2) 인물화 그림 해석 1 ⓒ 인물화의 해석 인물화는 가장 깊이 연구된 것으로 나무 그림이나 집보다 자기 상을 더 잘 나타낸다. 그러나 인물화는 피검사자에게 경계심을 품게 하고 자기를 방어하려는 생각을 갖게 하기 때문에 의식적 · 무의식적으로 자기의 모습을 왜곡시켜 나타내며 자기 이외의 인간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자기의 현실상이나 이 상상을 나타내며 자기에게 있어서 의미 있는 사람, 일반적인 사람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인물화는 자기 상뿐만 아니라 피검사자에게 의미 있는 사람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피검사자 주위에서 가장 좋은 사람이거나 가장 싫어하는 사람 또는 양면적 감정을 지닌 인물로 보아야 한다. 내담자는 양친의 상을 의미 있는 사람으로 그리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내담자가 양친을 동일시하여 자신의 행동양식.. 2022.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