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기록,공유

미술 심리 치료학 _ 미술 심리 치료 기법 1

by 나비B 2022. 7. 2.

1. 난화


• 설명
만 2~4세는 자아 표현이 발달하는 시기로 아이들은 자기 마음대로 선을 긋는 난화를 그리기 시작한다. 난화는 아무런 목적이 없는 놀이인 동시에 기분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활동인 만큼 정서적으로 위축된 내담자라도 부담 없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리기를 싫어하고 두려워하는 등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에게 난화 기법은 아주 좋은 방법이다.



1-1. 난화 그리기


•재료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8절, 4절: 내담자에게 알맞은 것 선택), 크레파스(좋아하는 한 가지 색 선택, 사인펜, 연필 등
•활동 순서
편안한 자세로 앉아 몸과 마음을 이완시킨다.
ㆍ눈을 감고 편안한 상태에서 팔을 위로 들어 올려 허공에 팔을 부드럽게 또는 빠르게 휘저어 본다.



1-2. 난화 상호 이야기법


난화 그리기
•내담자: 초등학교 고학년
・이미지: 오리, 야구공,  야구공
• 눈을 뜨고 원하는 색의 크레파스를 선택하여 도화지 위에 곡선이나 직선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선을 그린다.
・그려진 선을 이리저리 돌려보면서 이미지를 떠올린다.
・떠올려진 이미지를 보면서 선이나 색을 첨가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려진 이미지를 보며 이야기를 나눈다.


●두 장의 그림을 사용하는 방법


・내담자와 치료사가 각자의 종이에 테두리 선을 그려 종이를 교환한다.
내담자가 난화를 그리고 치료사가 이미지화하여 그림을 그려 나간다. 혹은 치료사가 먼저 그리고 내담자가 이미지화하여 그림을 그려 나간다.
・내담자와 치료사가 각기 다른 종이에 그린 그림이 무엇인지 이야기해나간다.
·치료사가 두 장의 그림으로 이야기를 꾸며나간다.
・내담자가 두 장의 그림으로 이야기를 꾸며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 용지를 사 등분 하여 실시하는 방법


1-3. 난화게임
•앞서 치료사가 종이에 테두리를 설정하고 용지를 사 등분 한다.
•내담자가 난화를 그리고 치료사가 이미지화하여 그림을 그린다. 혹은 두 사람이 반대로 한다.
•앞의 방법을 반복하면서 용지의 네 군데에 모두 그린다. 그려 나간 순서와 상관없이 서로의 이야기를 꾸민다.
연필, 지우개, A4용지


난화 상호 이야기법

•설명
난화게임은 내담자와 치료사가 각기 종이 한 장씩을 가지고, 그 종이에 원, 직선, 곡선, 지그재그선 등의 난화를 그려 상대방에게 건네준다. 각자 상대방의 난화를 이용해서 그리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표현하며 난화를 완성한 후 그림의 내용 및 그리는 과정에서의 느낌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 활동 내용
・치료사가 종이에 난화를 그려 아동에게 제시하면서 위의 사항에 따라 그림을 표현하도록 한다.
・그림을 그리고 난 후 그 그림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그림의 의미를 명료화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어떻게 느껴지는가?
-그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이후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
-질문한 후에 내담자가 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치료사는 그림을 그리고 이야기를 만든다.



1-4. 마음대로 표현하기
마음대로 표현하기
•재료
도화지, 크레파스, 연필, 사인펜, 음악 CD
• 활동 내용
·약 5분 정도 눈을 감고 음악 감상한다.
도화지 위에 원하는 매체로 음악을 따라 천천히 대각선 양쪽 끝에서부터 난화를 그린다.
ㆍ눈을 감고 왼손으로 난화를 그리고, 선이 끊기지 않도록 자유롭게 그린다.
•난화를 그린 후 느낌이 가는 대로 도화지를 그냥 두기, 던지기, 뭉치기, 밟기 등 자유롭게 표현한다.

•제목을 정한 후 재료 정리를 한다.
ㆍ작품을 들고 난화 그릴 때 느낌과 자신이 자유롭게 표현한 느낌에 관해 이야기 나눈다.
ㆍ작품에 대해 서로의 피드백을 나눈다.


2. 핑거페인팅
• 설명
핑거페인팅은 물감에 풀이나 물을 섞어서 손가락 · 손바닥 등으로 문질러 그림을 그리는 회화 기법을 말한다. 전문적인 회화 기법이라기보다는 유아나 유치원생,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리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목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초보적인 기법이다. 직접 물감을 만져 봄으로써 촉감과 손의 근육 발달을 돕고, 여러 가지 색깔의 물감을 통해 색감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데도 자주 이용된다. 미술 심리치료 초기 혹은 말기에 사용한다. 정서적인 안정감, 저항의 감소 및 긴장 이완, 작업의 촉진, 스트레스 지수의 완화를 촉진한다.



2-1. 핑거페인팅
핑거페인팅(재료: 밀가루 풀과 물감)

•재료
물감, 아크릴판 또는 책받침, 젓가락, 밀가루 풀
• 활동 내용
물감과 밀가루 풀을 섞어서 손바닥으로 감촉을 느끼면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린다.
•단, 발달지체 아동이나 부적응 아동이 물감을 섞고 찍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부적절한 행동(물감으로 손장난하기, 물감을 옷이나 얼굴에 문지르기, 주위에 튀기도록 철썩철썩 물감을 치기 등)이 있을 때는 보조 치료사를 두어 행동 통제를 같이하면서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2-2. 핑거페인팅: 면도용 크림
 핑거페인팅(재료: 면도용 크림과 물감)

● 재료
물감, 아크릴판 또는 책받침, 면도용 크림
•활동 내용
면도용 크림과 물감을 짠 후 손바닥으로 감촉을 느끼면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린다.
•느낌에 관해 이야기하고 원하는 물감을 섞어서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도록 돕는다.
•도화지나 쿠킹포일 위에 올리며 자유롭게 표현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