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기록,공유

미술 심리 치료학 _ 미술 심리 치료 기법 2

by 나비B 2022. 7. 2.

3. 상호 색채 분할법
• 설명
상호 색채 분할법의 목표로는 관계 형성 및 거부감 감소, 흥미 유발, 활동의 촉진이 있으며, 준비물로는 다양한 크기의 도화지, 사인펜, 크레파스가 있다.
※ 이때 내담자가 한 번에 한 칸씩 칠하지 않고 2~3칸을 칠해도 원하는 대로 하게 해준다. 색칠을 잘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내담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잘 맞추어주는 것이 초기 단계 치료사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재료
도화지, 크레파스
상호 색채 분할법
• 활동 내용
치료사는 내담자에게 가장자리에 테두리가 그려진 도화지를 제시하면서 '선생님하고 같이 선을 그려서 색칠하기를 해보자'라고 제안한다.

•재료
물감, 아크릴판 또는 책받침, 젓가락, 밀가루 풀
• 활동 내용
.
물감과 밀가루 풀을 섞어서 손바닥으로 감촉을 느끼면서 자유롭게 그림을 그린다.

•단, 발달지체 아동이나 부적응 아동이 물감을 섞고 찍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부적절한 행동(물감으로 손장난하기, 물감을 옷이나 얼굴에 문지르기, 주위에 튀기도록 철썩철썩 물감을 치기 등)이 있을 때는 보조 치료사를 두어 행동 통제를 같이하면서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2-2. 핑거페인팅: 면도용 크림
핑거페인팅(재료: 면도용 크림과 물감)

・치료사가 '먼저 선을 한 번 그어볼까? 하며 직선(혹은 곡선)을 한 줄 그린 다음 내담자에게 '너도 그려볼래?"라고 말한다. 아동이 선을 자연스럽게 그리면 칭찬해준다.
・치료사와 내담자가 번갈아 가며 몇 개의 선을 더 그려 넣는다.
・내담자에게 크레파스를 제시하고 칠하고 싶은 색을 골라서 원하는 부분에 칠하도록 한다.
・내담자가 색칠하고 나면 치료사가 색칠한다. 치료사와 내담자가 번갈아 가며 색칠하여 완성하도록 한다.



4. 콜라주
• 설명
콜라주는 불어로 '풀로 붙인다'는 의미의 '꼴레'에서 유래된 것으로 가위나 칼을 사용하여 형상 또는 형상의 요소를 잘라 내어 풀로 붙이는 기법이다. 그림에 자신이 없어 하는 내담자에게도 흥미를 유발해 주어 사진이나 그림만으로도 감정을 쉽게 나타낼 수 있다.


4-1. 잡지 그림 콜라주
•재료
4절지 혹은 8절지의 화지, 가위, 풀, 광고지, 카탈로그, 잡지신문
• 활동 내용
・'콜라주를 해볼까요. 콜라주란 자신의 마음에 드는 사진이나 그림을 자유롭게 잘라서 붙이는 거예요'라고 이야기한다.
·콜라주 작품을 멀리 두고 서로 감상하되 치료사는 해석적인 말을 하지 않도록 한다.
내담자와 작품에 관해 이야기하며 서로 교류하고, 치료사가 작품에 대해 느낀 감상을 정리하여 말하고 종료한다.


4-2. 비전 액자 콜라주
 잡지 콜라주
•재료
뚜껑이 있는 상자, 잡지, 가위, 풀, 꾸밀 수 있는 다양한 재료
• 활동 내용
•내가 좋아하는 것, 자신이 만나고 싶은 사람, 하고 싶은 것, 갖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을 생각하면서 잡지를 여러 장 찢는다.
찢은 잡지 중 원하는 잡지의 사진이나 글 등을 오려서 상자의 안과 밖에 배치하고 붙인다.
제목을 적고 재료를 정리한다.

·완성된 작품을 집단의 중간에 모아놓고 원하는 사람이 먼저 발표한다.
다른 집단원은 미래에 긍정적 설계에 대해 자신감을 갖도록 격려한다.
・마무리 인사를 한다.


5. 만다라
 액자 콜라주
• 설명
만다라는 인도의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의 원상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어근 Manda는 '참' 또는 '본질'을 의미하고 접미사 la는 '소유' 또는 '성취'를 의미한다.
즉, 중심과 본질을 얻는 것 혹은 마음속에서 참됨을 갖추고 있거나 본질을 원만히 하는 것이다.


5-1. 만다라
•재료
문양이 그려진 도안, 색연필, 명상음악

•활동 내용
• 향기 나는 초를 밝히고 조용한 음악을 틀어놓은 후 숨을 들이쉬었다가 내쉬기를 반복하면서 이완한다.
•만다라 문양 중에서 자기 모습과 일치하는 하나를 선택한다.
하나를 다 색칠하면 다른 문양을 선택해서 색칠한다.
•제목을 정한 후 재료 정리를 한다.
•완성된 작품을 집단의 중앙에 모아 놓고 원하는 집단원이 먼저 발표한다.
•문양의 선택 이유를 나누기하고, 안에서 밖으로 색칠을 하거나 밖에서 안으로 색칠하는 규칙을 지켜가면서 색칠한 느낌을 나누기한다.
ㆍ작품에 대해 서로의 피드백을 나눈다.


5-2. 집단 만다라

 문양 만다라 색칠하기
•재료
전지 2장, 실, 연필, 가위, 자, 스카치테이프, 반짝이 풀, 물감, 팔레트, 붓, 물통, 크레파스, 색종이
•활동 내용
집단원이 함께 전지 2장을 붙이고 큰 원을 그린 후 6등분으로 나눈다.
•각자 개인이 가져가 자유롭게 작업을 한 후 다시 모아서 큰 만다라 형태를 만든다.


각자 무엇을 표현하였는지 이야기 나눈다.


5-3. 점토 만다라

・집단 만다라 제목을 함께 정한 느낌과 공동작품의 느낌에 대해 나누기한다.
ㆍ작품에 대해 서로의 피드백을 나눈다.
마무리 인사를 한다.

● 재료
밀대, 물병, 분무기, 파라핀지, 동그란 쿠키커터, 아이스크림 막대, 조개껍데기, 비즈, 단추, 구슬, 작은 나뭇조각, 스팽글, 모루, 점토를 눌러서 자국을 남길 수 있는 다양한 물품


•활동 내용
ㆍ점토를 주무르고 반죽하며 점토를 탐색한다.
・치료사는 내담자에게 파라핀지 위에 납작한 점토 조각을 올려두고, 어떻게 동그란 모양으로 잘라내는지 보여준다.
ㆍ점토를 두께가 2~3cm 정도가 되도록 민다.
・동그란 쿠키커터를 점토에 대고 눌러준다.
・나머지 점토는 제거하고, 남은 점토는 봉지에 담아 저장해둔다.
・내담자들이 만다라를 작업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공유하고, 만다라의 디자인과 문양을 설명하게 한다.

자신의 만다라 의미를 이야기하도록 한다.
집단원들과 자신의 유사한 테마가 존재하는지를 찾도록 한다.
•만다라를 작업하면서 내적 집중과 일체감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야기 나눈다.


5-4. 꽃잎 만다라
•재료
시트지, 꽃과 자연물, 가위
점토 만다라
• 활동 내용
꽃과 자연물을 만져보며 향기를 맡아본다(시각, 촉각, 후각).

・내담자: 90대 노인, 행복함
 꽃잎 만다라
원하는 색의 시트지를 골라 원하는 모양으로 자른다.
꽃과 자연물을 이용해 만다라를 표현해본다.
작품의 제목을 정하고 작업할 때의 느낌과 결과물을 보고 떠오르는 느낌을 나눠 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