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심리학 발달 1. 발달의 실체 세월을 이길 장사는 없다. 세월은 우리를 지속해서 변화시킨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우리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이런 변화를 포착하고자 하는 것이 발달심리학의 목표이다. 변화는 상승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하강 적 변화도 있다. 초기에 발달심리학은 상승적 변화에만 관심을 가졌다. 발달이란 의미는 그래서 상승적 변화에 보다 적절한 의미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성인과 노인 발달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령에 따른 변화는 유전에 의하여 이루어지기도 하며 어떤 경우에는 경험의 결과이기도 하다. 유전에 기초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성숙이라고 하고 경험에 기초해서 이루어지는 학습이라고 한다. 어떤 연구자들은 유전의 영향을 강조하고 다른 연구자들은 환경의 영향을 .. 2022. 7. 26.
심리학 언어 2. 언어 이제 언어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언어는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통로이다. 무엇보다도 인간을 인간이게끔 만드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이 언어이다. 언어가 없었다면 우리가 누리고 있는 많은 문명과 문화는 상상할 수도 없다. 아마 인간 이외의 다른 존재가 인간과 같은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인간과 같은 문명을 꽃피우는 것은 단지 시간의 문제일지 모른다. 아마 그럴 것이다. 언어를 통하여 한 사람의 경험이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고 그렇게 축적된 경험과 지식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었다. 인간의 지식은 언어에서 생겨났다. 왜 우리의 사고 과정이 언어적 상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지 이해될 것이다. 언어는 지식의 뿌리이기 때문이다. 언어에 대해 어떤 찬사를 해도 부족하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언어의 .. 2022. 7. 26.
심리학 인지 1. 인지란 무엇인가? 인식의 주체인 인간은 항상 대상과 마주하고 있다.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을 바라보며 어떻게 인식주체가 대상을 인식하는지에 관심 있는 철학자나 과학자를 상상해 보자. 이런 상상으로부터 우리는 인지가 무엇인지 접근해 보자. 과학자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질문들을 할 것이다. 인식주체는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는가? 왜 어떤 정보는 받아들이고 어떤 정보는 흘려버리는가? 그 정보는 입력되어 기존의 정보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가?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떻게 저장되는가? 저장된 정보는 어떻게 꺼내 쓰는가? 그렇다. 인지는 바로 이런 문제에 답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그래서 인지라고 하면 주의 집중, 감각과 지각, 학습과 기억, 언어와 사고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앞에서 이런 과정의 일부를.. 2022. 7. 26.
심리학 기억의 개념 기억의 개념. 지식이란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여 그것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식은 상당 부분 기억에 의존하고 있다. 지식은 감각기관을 통해서 들어온 자극을 의미 있는 무엇으로 해석하는 지각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지각된 사물은 우리의 머릿속에 저장되게 되는데 처음에 이루어지는 이 과정을 우리는 흔히 학습이라고 한다. 학습이 이루어지면 어떤 개념이나 대상이 우리의 머릿속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정보를 저장했다가 인출해 사용하는 과정을 우리는 기억이라고 한다. 파리 아이의 일련의 정보처리 과정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 과정으로 어느 점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학습, 감각, 지각, 기억, 혹은 인지의 부분이 된다. 감각과 지각이.. 2022. 7. 25.